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손주 증여 방법|2025년 비과세 한도 & 절세 전략 한눈에 정리

by Tax알리미 2025. 5. 4.

👵 손주 증여 방법|2025년 비과세 한도 & 절세 전략 한눈에 정리

“손주에게 증여하고 싶은데 세금은 얼마나 나올까?”
“부담 없이 줄 수 있는 금액은 얼마까지일까?”
2025년 기준 손주에게 증여 시 비과세 한도 및 절세 방법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.

👉 부모, 조부모 세대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세금 없는 증여 요령!


✅ 2025년 손주 증여 비과세 한도

국세청 기준, 미성년자인 손주에게 증여 시 비과세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.

구분비과세 한도 (10년 기준)
조부모 → 손주 (미성년자) 2천만 원
조부모 → 손주 (성인) 5천만 원
 

즉, 미성년 손주에게 10년 동안 총 2천만 원까지는 세금 없이 증여 가능
단, 손주가 성인이 되면 새롭게 비과세 한도 5천만 원 적용 가능 (중복 아님)


💡 손주 증여 절세 방법 TOP 3

1. 10년 주기 계획적 증여

  • 증여는 10년 단위로 한도 새롭게 적용
  • 예: 만 5세 손주에게 2천만 원 증여 →
    10년 후, 만 15세 때 다시 2천만 원 추가 증여 가능

2. 부모가 아닌 조부모가 직접 증여

  • 부모가 이미 증여 한도를 다 쓴 경우, 조부모가 별도로 증여 가능
  • 손주 입장에선 각각의 증여자에게 독립된 한도 발생

3. 직접 생활비 or 교육비 지원은 비과세

  • 병원비, 학원비, 대학 등록금 등은 영수증 첨부 시 증여세 면제
  • 단, 현금 지급 후 용도 미확인 시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음
    👉 계좌 이체 + 용도 증빙 필수!


📌 실제 증여 예시

“할아버지가 손자 대학 입학 때 3천만 원 지원”
→ 2천만 원까지 비과세, 초과 1천만 원은 증여세 과세 대상
→ 등록금 직접 납부 방식이면 전액 비과세 가능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