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증여재산 공제 한도 총정리|적용 가능 여부 검토 필수

by Tax알리미 2025. 8. 16.

1. 증여재산 공제란 무엇인가?

증여세는 일정 금액 이하의 증여는 과세하지 않고 공제를 해줍니다.
이를 증여재산 공제라고 하며, 증여자가 누구인지(배우자, 자녀, 기타 친족)에 따라 공제 한도가 다릅니다.

👉 공제를 제대로 활용하면 합법적으로 수천만 원~수억 원 절세가 가능합니다.


2. 증여재산 공제 한도 (10년 단위 적용)

상속세 및 증여세법에서는 10년 합산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공제를 적용합니다.

  • 배우자: 6억 원
  • 성인 자녀(만 19세 이상): 5천만 원
  • 미성년 자녀: 2천만 원
  • 기타 친족(형제자매, 조카 등): 1천만 원

📌 예시

  • 2025년에 배우자에게 6억 원 증여 → 공제 적용 → 증여세 없음
  • 2025년에 성인 자녀에게 7천만 원 증여 → 5천만 원 공제 → 2천만 원에 대해 증여세 과세

3. 공제 적용 시 주의사항

  1. 10년 단위 합산
    → 동일인에게 10년 이내에 받은 증여재산을 합산 계산
  2. 증여자별 공제
    → 아버지, 어머니 각각에게 받은 증여는 별도 공제 적용 가능
  3. 증빙 필수
    → 증여계약서, 가족관계증명서, 금융이체 내역 등 증여 사실 증빙 필요

4. 절세 전략

  • 분산 증여 활용: 부모 모두에게 증여받으면 공제 한도를 2배 활용 가능
  • 증여 시기 조절: 10년 단위로 나눠 증여해 공제 혜택 반복 적용
  • 미성년 자녀 증여 후 추가 증여 계획: 성인 전환 후 다시 공제 적용 가능

5. 신고 전 체크리스트

✅ 증여자가 누구인지(배우자, 자녀, 친족)에 따라 공제 한도 확인했는가?
✅ 동일인으로부터 10년 이내 받은 증여액 합산했는가?
✅ 증여 사실을 입증할 서류를 준비했는가?
✅ 공제 적용 후 과세 대상 금액을 다시 계산했는가?


💬 정리
증여세는 공제 한도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에 따라 세금 차이가 크게 납니다.
특히 배우자·자녀 공제 한도는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까지 절세 효과가 있으므로, 반드시 사전에 확인하고 계획적인 증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.

📢 참고: 국세청 증여세 안내